AI 생성 이미지
14일 보안 상장사 중 매출 상위권 기업의 2025년 3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은 대체로 상승했으나 영업손익은 기업별로 편차가 있었다.
사이버보안 업계 매출 1위 안랩(053800)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45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8%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7.6% 하락한 79억 원을 기록했다.
저조한 실적은 안랩 본사 매출 감소와 더불어 자회사(안랩블록체인컴퍼니·안랩클라우드메이트·나온웍스·제이슨) R&D 투자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안랩 관계자는 “수익성 높은 제품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매출 구조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생긴 영향”이라며 “전반적으로 수익성 개선과 안정적인 운영 흐름을 이어갔다”고 말했다.
안랩의 1~3분기 누적 매출은 1840억 원, 누적 영업이익은 124억 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3.4%, 2.2%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당기순이익은 금융 자산 처분 이익이 반영돼 1~3분기 누적 288억 원으로 93.8% 급증했다. 자회사를 제외한 별도 기준 영업이익도 3분기 103억 원으로 7억 원(7.5%) 더 늘었다.
삼성SDS(삼성에스디에스(018260)) 보안 자회사 시큐아이는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8.2% 오른 357억 원이다. 누적 매출(1153억 원)도 동 기간 1.9%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수익성 중심의 사업 재편을 이어간 결과 3분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3% 급증했다. 누적으로는 8.9% 성장한 154억 원이다.
시큐아이 관계자는 “수익성 중심의 사업 포트플리오로의 전환과 운영 비용 효율화가 맞물리며 전반적인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글루(067920)코퍼레이션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68억 원, 영업이익 1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14.2%, 영업이익은 0.8% 상승했다. 1~3분기 누적 매출도 760억 원으로 12.1% 증가했고,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3억8584만 원 영업손실에서 흑자 전환해 11억7582만원을 올렸다.
이는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주력하는 확장형 탐지·대응(XDR) 기반 차세대 보안관제 플랫폼(SIEM) 등 주요 보안 솔루션 판매가 호조를 보인 덕분이다. 회사 관계자는 “연초에 수주한 공공 사업 매출이 하반기에 집중되는 경향 때문인 것도 있지만 작년 동기 대비로도 수주액이 늘었다”며 “연간 흑자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이글루코퍼레이션 관계사인 파이오링크(170790)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5억2096만 원으로 전년보다 22.2% 감소했다. 1~3분기 누적 영업손실은 10억3750만 원으로 전년보다 19.5% 확대됐다. 상반기 제로트러스트 등 미래 핵심 사업 인력·투자 비용이 반영된 결과다.
파이오링크 관계자는 “R&D 투자를 늘린 영향에 더해 원가가 높은 보안 사업 매출이 3분기에 늘어나며 영업이익이 상대적으로 감소했다”며 “4분기엔 마진율이 높은 네트워크 사업 매출이 집중 반영되며 연간 기준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력으로 물리보안 사업을 함께 영위하는 SK쉴더스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54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 성장했으며, 영업이익도 368억 원을 기록해 4.4% 상승했다. 누적 영업이익(910억6844만 원)은 그러나 같은 기간 6.1% 감소했으며, 3분기 기준 39억2908만 원 당기순손실을 내 적자 전환했다.
SK쉴더스 관계자는 “물리보안 부문의 무인경비·무인매장 사업 성장과 사이버보안 부문의 대외 파견 관제 확대 등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나, 임금 인상 등 인건비와 지급 수수료 등 일회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고 밝혔다.
SK쉴더스는 현재 부문별 매출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2021년 기준 물리 보안 매출 비중이 59%로 상당 부분 기여하는 수준이다. 이어 사이버 보안 매출은 22%, 융합 보안 매출은 16% 순이다.
정보보호 제재 강화…보안 업계 실적 개선 기대
최근 연쇄 해킹 사고로 정부가 보안 제재 강화를 시사하면서, 보안 업계에선 특히 내년부터 이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이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10월 정부가 발표한 ‘범부처 정보보호 종합대책’은 △정보보호 공시 의무 전체 상장사로 확대 △징벌적 과징금 제도 도입 △CEO 보안 책임 원칙 법령상 명문화 등 기업 대상 고강도 보안 제재를 포함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 부문에서도 정보보호 예산 및 인력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국내 한 보안 업체 IR 관계자는 “지난해에 예상보다 정부 예산이 많이 삭감돼 매출이 워낙 안 좋았다”며 “이번 범부처 종합대책을 계기로 정보보호 사업들이 많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고, 실질적으로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은 올해 4분기에 일부 반영되기 시작해 내년 1~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