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리더 지원 '국가과학자'…3050 신진 연구자로 확대해야

IT/과학

뉴스1,

2025년 11월 14일, 오후 05:56

2025년 9월 진행된 1차 YKAST 과학기술혁신정책 현장간담회.(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젊은 신진 연구자들이 30~50대 초반의 연구자를 위한 '차세대 국가과학자 트랙'을 신설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14일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은 이런 취지의 의견서를 공유했다.

Y-KAST는 2017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영아카데미로, 45세 이하 우수한 젊은 연구자들로 구성됐다. 국내 석학 지원단체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회원을 선출한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와 함께 과학기술 인재 및 연구개발(R&D)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공계 인재 예우 강화, 전략기술 분야 해외인재 유치, AI 인재 양성 등 방안을 담았다.

특히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가진 리더급 과학자·공학자를 연간 20명씩 선정해 '국가 과학자'로 예우해 준다는 내용이 이목을 끌었다. 연 1억 원의 연구 지원금도 준다.

Y-KAST 역시 국가 과학자 도입 자체는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과학기술인의 영예를 높이는 한편, 도전적 연구를 장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지원 제도가 관련 분야 최상위 연구자 중심으로 운영될 계획이란 점을 꼬집었다. 성장 잠재력이 있는 우수한 젊은 과학자는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일까 우려스럽다고 했다.

Y-KAST 측은 "국가 성과를 이끌 신진·중견 연구자층들은 연구실을 본격적으로 키워야 한다. 이들을 향한 적절한 투자도 필요하다"며 "국가 과학자 제도가 특정 연령대나 경력 구간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과학기술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30대~50대 초반의 차세대 연구자까지 포괄하는 '전 주기형 핵심 인재 육성 제도'로 확대·개편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Y-KAST는 차세대 국가과학자 제도가 성공하려면, 한창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실질적 재정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Y-KAST 측은 "실질적 재정 지원은 단기 성과 중심의 평가 부담에서 벗어나 자율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며 "연구자가 행정 부담 없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장기간 안정적인 연구 과제 기간 보장과 연구 행정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한국 과학기술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질 수 있도록, 젊은 리더들 간의 공동연구 네트워크가 구축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확장 활동에 필요한 시간·재원·조직적 지원을 국가가 전략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밖에도 Y-KAST는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로 유인하기 위해 정착금 및 주거 지원 등을 보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legomaster@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