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회사는 16일부터 21일까지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리고 있는 ‘슈퍼컴퓨팅 2025(SC25)’에서 해당 솔루션을 전시 중이다.
이번 솔루션은 모레의 AI 플랫폼 ‘MoAI’와 텐스토렌트의 ‘갤럭시 웜홀(Galaxy Wormhole)’ 서버를 결합해, 대규모 AI 모델의 추론과 학습을 더 유연하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대부분의 가속기가 추론 중심으로 설계된 것과 달리, 단일 플랫폼에서 두 연산을 모두 지원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솔루션은 기존 GPU 기반 시스템 대비 네트워크 부하를 크게 줄여 확장성을 높이고, 총소유비용(TCO)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모레는 이번 공개를 통해 지원 하드웨어 범위를 기존 GPU에서 텐스토렌트 프로세서까지 확대했다. 다양한 가속기 환경에서 일관된 성능을 확보하는 ‘범용 AI 플랫폼’이라는 회사의 전략에도 속도가 붙게 됐다.
양사는 이를 발판으로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한다는 목표다.
야스미나 바실예비치 텐스토렌트 수석 연구원은 “모레와의 협업은 개방형·공동 설계 방식이 급증하는 AI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며 “두 회사는 접근성과 확장성을 모두 갖춘 AI 인프라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레는 AI 인프라 소프트웨어와 초대규모 클러스터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해 왔다. 또한 파운데이션 LLM 전문 자회사 모티프테크놀로지스를 통해 모델 영역까지 기술 역량을 확장하고 있으며, AMD·텐스토렌트·SGLang 등과의 협업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속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