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페이는 단말기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결제가 완료되는 얼굴 인식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다. 11월 기준, 전국 페이스페이 사용 가능 가맹점 중 절반 가까이에서 실제로 한 번 이상 결제가 발생했다. 서울 지역의 경우, 전체 가맹점 중 약 79%에서 결제가 이뤄졌으며, 특히 카페 업종에서는 약 95%의 사용률을 기록했다.
토스는 차별화된 보안성을 내세우고 있다. 페이스페이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사전적정성 검토’를 받았다. 또한 △위변조 탐지 기술 ‘라이브니스’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얼굴 변화와 유사 얼굴을 정밀하게 구분하는 ‘페이셜 레코그니션 모델’ 등을 통해 보안 리스크를 전방위적으로 탐지하고 관리하고 있다.
토스 관계자는 “편의성과 신속성뿐 아니라, 토스가 그동안 보안에 집중해온 부분에 대한 신뢰가 페이스페이 확산의 기반이 됐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사용자가 일상에서 ‘결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처와 기능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페이(Npay) 역시 얼굴 결제 기능을 갖춘 오프라인 결제 단말기를 이날 출시해 두 회사의 본격적인 경쟁 구도가 형성될 전망이다. ‘커넥트’에서는 현금·카드·QR·간편결제·NFC 뿐만 아니라 지난해 3월 Npay가 핀테크 업계 최초로 선보인 안면인식 결제 서비스인 ‘페이스사인’까지 다양한 결제수단 사용이 가능하다.
Npay 이향철 페이서비스 책임리더는 “오프라인 가맹점은 ‘커넥트’를 통해 기존 네이버 검색과 지도를 통한 고객과의 연결을 더욱 확대하여, 매장 방문객에게 온-오프라인이 연동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앞으로 ‘커넥트’를 통해 더 많은 가맹점들이 단골고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을 더욱 고도화하며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