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임 부위원장은 ”현재 위원회는 기술혁신, 인프라, 산업AX·글로벌 협력을 위해 3개 TF를 운영 중이며, 총 120명의 위원이 국가 AI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밤낮으로 토론하고 있다”고 말했다.
AI 액션플랜은 위원회 차원에서 우리나라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종합 정책이다. 기술혁신·인프라, 산업 AX·생태계, 공공 AX, 데이터, 사회, 글로벌 협력, 과학·인재, 국방·안보 등 8개 분과 아래, 칸막이 없는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중심을 잡는 역할을 맡고 있다.
임 부위원장은 “위원회는 오늘의 (포럼) 주제하고 상통하는 범국가 AI의 대전환을 핵심 정책축으로 하고 있다”며 “이를 뒷받침하는 산업 AI 대전환과 기반한 문화 ·국방을 강구하는 과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 부위원장은 아울러 “포럼에서 여러분들이 논의하는 의견들을 잘 수렴해서 반영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AX 혁신을 위해) 집단 지성이 집결한 임무지향적 조직 필요하다”면서 “단순히 앞으로 나가아는 조직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위원회 조직이 만들어져야한다”면서 위원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산업적 토대가 AI 대전환의 중요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임 부위원장은 “바야흐로 AI 대전환 시점”이라면서 “범용 모델 경쟁을 넘어 각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버티컬 AI’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고, 각국은 자국의 산업 구조에 맞는 AX 전략을 국가 경쟁력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 부위원장은 “우리나라는 범용 모델의 경쟁력과 탄탄한 제조업 기반, 한류·방산 경쟁력이런 산업 강점을 AI와 잘 융합해 국내 AX는 물론 한국의 위치를 탄탄히 나져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가 원하는 것은 단순한 AI 기술 성장 자체가 아니라 국가 전반에 미칠 ‘파장’이라며, UAE와의 협력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모델을 만든 것처럼 AI 전략을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확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임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직접 연단에서 ‘AI G3 도약을 위한 대한민국 AI 정책’을 주제로 직접 한국의 AI 정책 비전을 발표하고, LG AI연구원·업스테이지·네이버클라우드·NC AI·SK텔레콤 등 ‘국가대표 AI 5대 기업’이 참여해 산업별 AI 고도화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