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을 부지런히 움직이며 춤을 추는 로봇의 동작에 곳곳에서 웃음과 박수가 터졌다. 참가자들은 로봇에게 말을 걸고 악수를 나누며, 휴대폰을 들어 모습을 담았다.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서 관람객이 춤을 추고 있는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 사진을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사진=안유리 기자)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사진=안유리 기자)
수영 씨는 “취업이 걱정되기도 하지만, ’AI시대 흐름에 소외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임우형 LG AI연구원장님 말씀이 인상적이었다”면서 “나의 기술 경쟁력을 키워야겠다고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올해 GAIF는 막이 오른 순간부터 AI 기술이 곳곳에 자리하며, 웃음을 자아냈다. 곽재선 이데일리 회장이 개회사를 발표하며 “조금 전 개회사는 사실 챗GPT에 부탁해 작성한 것”이라고 솔직하게 고백하자, 참석자들은 폭소와 함께 고개를 끄덕였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서 관람객들이 현장등록을 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또한 유니트리의 4족 보행 로봇도 무대에 등장했다. 무대를 빠르게 오가며 움직이는 로봇의 역동적인 모습에 참가자들은 다시 한 번 휴대폰을 들고 셔터를 연달아 눌렀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펠릭스 상 유니트리 로보틱스 선임이사가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서 ‘중국 빅테크의 AX전략과 확장’이란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그는 “3~5년 뒤 인간의 일상 속 ‘생활 동반자’가 되고, 5~10년이 지나면 집안일까지 스스로 처리하는 범용 AI 로봇이 가정에 본격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올해로 12회를 맞은 GAIF 2025는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렸다.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 최태후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등 국내외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