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백현정 CJ ENM 콘텐츠이노베이션 담당이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서 ‘AI로 만드는 차세대 K콘텐츠 스튜디오’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CJ ENM은 콘텐츠 산업에 AI가 접목되며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산업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고 봤다. 제작 구조를 진화시켜 본연의 콘텐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AI 영상 자체가 콘텐츠로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백현정 CJ ENM 콘텐츠이노베이션 담당은 “기존에는 AI 모델과 기술 도입이 화두였지만 이제는 무엇보다 사업화가 중요해졌다”며 “특히 콘텐츠는 그림·음악·영화 등 ‘보이는 AI’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봤다.
실제 AI는 창작 영역에서 단순 마케팅 활용을 넘어 이제 편집·시각효과(VFX)와 같은 사후 제작 단계, AI 스토리보드·AI 프리비즈(Pre-Visualization) 등 사전 제작 단계에 도입되고 있다. 향후에는 AI가 대본 구성과 스토리를 제안하는 기획 단계부터 전면에 나서고, AI와 인간이 함께 창작하는 독립적인 AI 콘텐츠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CJ ENM은 이런 흐름에 발맞춰 ‘AI 기반 차세대 K-콘텐츠 스튜디오’를 준비하고 있다. 백현정 담당은 “전문 콘텐츠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제작 기술 R&D를 추진 중이며, AI 기반 차세대 스튜디오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스토리를 발굴하고 제작해 콘텐츠 산업을 한 단계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이민우 대한항공기술연구원 SW팀장이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서 ‘AI로 자율 무인기 시대를 여는 항공 방산 도전’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이민우 대한항공기술연구원 SW팀장은 “최근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위한 중요 요소로서 자율적으로 비행과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AI 조종사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대한항공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저피탐 무인 편대기 개발(K-CCA)’에 참여해 내년 초 초도비행, 내후년 유무인 복합비행을 목표로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 분야에서도 AI 항공정비(MRO) 외관 결함 검사, 정비 계획 의사결정 보조 등을 제공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이다. 특히 MRO 분야에선 기존 육안 검사로 10시간이 걸렸던 외관 결함 분석을 AI 시스템이 도맡아, 1mm 크기 결함을 탐지하고 50분 이내 검사를 마치는 수준으로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이민우 팀장은 “결함 탐지뿐 아니라 AI가 해당 결함을 어떻게 조치하면 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대한항공의 방대한 정비 데이터로 AI 모델을 학습시켜 계속 고도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 중”이라고 전했다.
이 팀장은 “방산 분야는 폐쇄적이고 접근이 어렵다는 생각을 많이 하지만 실제로는 협력 구도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AI 조종사와 AI MRO 기술을 통해 미래 전장이 요구하는 무기체계 개발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