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백현정 CJ ENM 콘텐츠이노베이션 담당이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에서 ‘AI로 만드는 차세대 K콘텐츠 스튜디오’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버티컬 AI와 AX(AI Transformation):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5)은 생성형 AI 이후의 실질적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주요 AI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별 AI 활용 전략과 국가 차원의 AI 자립 비전을 공유한다.
그는 “지금까지 AI 논의가 LLM·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이었다면 앞으로는 ‘사업화’가 시장의 화두가 될 것”이라며 “그중에서도 콘텐츠 분야에서 AI 사업화의 잠재력은 압도적”이라고 말했다.
AI는 프리부터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까지 콘텐츠 작업 밸류체인을 전반을 혁신하고 있다. 기존에는 AI 활용이 마케팅 등 프로덕션 ‘끝단’에 머물렀다면, 지금은 △대본 시각화 △콘셉트 이미지 도출 △원천 IP 분석 등 프리 프로덕션 단계까지 확대됐다.
백 담당은 CJ ENM이 내부 R&D(연구개발)를 위해 제작했던 자동차 전투 장면 영상과 애니메이션 영상을 이날 포럼에서 공개했다. 백 담당은 “다이나믹한 충돌이나 재난씬은 제작하기 어려운 고난이도 씬인데, 생성형 AI 활용 통해서 이러한 씬들을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했다.
아직 AI 영상은 일관성이나 디테일한 연출이 어렵다라든가 여러가지 한계가 있지만 이런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극복되고 있다. 백 담당은 “이러한 기술 고도화를 기다리기 보다는 자체적으로 AI 프로덕션에 대한 기술 알앤디를 이어가며 외부 제작사와 협업중”이라고 말했다.
AI 콘텐츠는 이미 빠르게 산업군에 자리하고 있다. 백 담당은 “2024년 초만해도 AI 영화제라는게 몇개 없는데, 이달 현재는 글로벌리 AI 영화제만 해도 100개가 넘는다”면서 “AI 영상이 하나의 장르로서 자리매김하면서 콘텐츠 시장을 규모감을 키우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백 담당은 “저희가 AI 기술을 개발하는 건 컨텐츠를 제작 회사로서 더 많은 스토리를 발굴하고 제작하고 세상에 공개하기 위함”이라면서 “잠재된 신진 크리에이어터한테 기회를 주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이야기를 전해드리고 싶다”고 포불를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