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핵심탑재체 R&D 공고…"기상 안테나·고해상도 광역 정찰"

IT/과학

뉴스1,

2025년 11월 23일, 오후 12:0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미래 위성탑재체의 핵심기술을 국산화하는 신규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고정밀 기상·환경 관측 및 광역 고해상도 정찰 등에 필요한 부픔을 개발해야 한다.

우주항공청은 이같은 내용의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R&D 과제 2건을 이달 24일부터 다음 달 23일까지 공고한다고 23일 밝혔다.

우주청은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을 통해 2030년까지 16개 우주 중점기술을 개발한다. 이번 공고는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탑재용 준광학 안테나 시스템 및 저잡음 수신기 개발, 다중입출력(MIMO) 기반 고해상도 광역 영상레이더(SAR) 탑재체용 디지털 빔포밍 등 2개 기술이 목표다.

준광학 안테나 시스템의 경우 저궤도 기상위성에 탑재될 수 있다. 고해상도 대기 관측, 강수량 예측, 기후변화 감시 등 국가 기상 관측임무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이를 돕는 저잡음 수신기 역시 필요하다.

광역 고해상도 C밴드 영상 레이더 디지털 빔포밍 기술은 저궤도 정찰·감시, 재난 대응 등 위성 임무에 쓰일 수 있다. 위성의 고해상도·광역 동시 관측을 구현한다.

특히 디지털 빔포밍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관측 범위가 넓고, 지상 해상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덕분에 위성 운용 수도 줄일 수 있어, 향후 차세대 다중 위성체계 구현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창헌 우주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민관이 함께 개발한 기술이 향후 실제 위성체계에 적용되고, 글로벌 위성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공고 내용 및 절차는 우주청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legomaster@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