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국가과학자 100명 선정해 국가적 예우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1월 24일, 오후 01:31

[이데일리 안유리 기자]정부가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을 막고, 인재 양성을 위해 2030년까지 ‘리더급 국가과학자’ 100명을 선정하고 집중지원하기로 했다. 또 기관당 연 30억원을 투입해 해외 우수 연구자를 국내 유치하기로 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부는 24일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의결했다.

이번 전략은 AI(인공지능) 등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이 심화함에 따라 핵심 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해 수립됐다.

먼저 전 국민의 존경을 받는 직업으로서의 과학자를 만들기 위해 ‘국가과학자’ 제도를 신설한다. 국가과학자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보유한 과학자 및 공학자로, 연 1억원의 연구지원금을 비롯해 국가적 의전과 예우를 제공한다. △연 1회 대통령과의 대화 △공항 출입국심사 패스트트랙 적용 △KTX 운임 지원 등이 포함된다.

소외당하는 분야가 없도록 과학기술 전 분야를 통틀어 연 20명씩, 2030년까지 총 100명을 선정할 계획이다. 리더급 국가과학자는 국가 R&D(연구·개발) 계획·제도 설계 시 기획 및 평가위원으로 활동한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박사 학위 취득 7년 이내의 산·학·연 초기 연구자를 ‘젊은 국가과학자’로 선정한다. 매년 최소 세 자릿수 이상의 연구자를 선발할 예정이다. 노벨상 등 세계적 과학상 수상 가능성이 높은 연구 분야나 AI 등 국가 주력산업과 직결된 분야의 연구자가 대상이다. 이들에게도 국가과학자지원금을 제공하는 한편 맞춤형 정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30년까지 해외 우수 연구자 및 신진급 연구자 총 2000명을 국내 유치한다. 이 중 70%는 국내로 복귀하는 재외한인 과학자로 채울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 재외 한인 과학자는 약 2만5000명으로 이중 해외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는 유학생은 약 5900명이다.

특히 대학·정부출연연구기관과 연계해 해외유치 연구자에게 안정적 연구환경을 제공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기존 개인 유치형으로 운영하던 ‘브레인풀 사업’을 기관 유치형으로 확대한다. 해외 인재를 유치한 기관에 연 30억원을 블록펀딩 형식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예산은 △사전 유치비 △인건비 △연구 인프라 구축 △체재비 등으로 쓸 수 있다. 브레인풀 사업의 내년 예산은 537억원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20여개 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한인 박사후연구원의 국내 복귀를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복귀트랙을 비롯해 △최고급해외인재유치(바이오) △최고급해외인재유치(산업) 등을 신설한다. 국내 복귀한 과학자에게는 안정적인 국내 활동과 장기 정착을 위해 비자·조세·자녀 교육·거주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소득세를 10년간 50% 감면하는 한편 자녀가 외국인학교에 ‘정원 외 입학 전형’으로 입학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우수 연구자의 안정적 국내 활동과 장기 정착을 위한 비자·채용방식·조세·자녀교육·거주 등 종합 패키지 지원한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