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전라남도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1.25/뉴스1 © News1 노선민
누리호 4차 발사를 앞둔 가운데, 막바지 점검 일정이 기상 악화로 일부 연기됐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강풍주의보가 발효되면서 25일 예정된 일부 점검이 26일 오전으로 밀린 것이다. 다만 발사는 27일 오전 0시 55분 예정대로 진행될 계획이다.
27일 새벽 4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의 막바지 점검 일부가 25일에서 26일 오전으로 연기됐다. 이는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일대에 강풍주의보가 발효된 데 따른 조치다.
우주항공청과 발사 주관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센터 조립동에서 제2발사대로 이동해 기립까지 완료한 누리호가 현재 발사대에 설치돼 있으며, 전기·공조 엄빌리컬(공급라인) 연결과 발사체 신호 점검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자세 제어계 점검도 이날 중 완료할 예정이다.
다만 강풍 등 기상 악화로 발사대와의 유공압 엄빌리컬 연결 및 누설 여부 점검은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항우연은 26일 오전 내 잔여 작업을 완료해 발사를 정상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26일 점검 대상에는 발사체 전자 장비·시스템('에비오닉스')의 전원 인가 및 점검, 추진제 및 헬륨 충전 준비 등이 포함된다. 모든 점검이 완료되면 우주청은 26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 추진제 충전을 결정, 최종 발사 시각을 확정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발사는 첫 심야발사다.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의 임무궤도 진입 때문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047810·KAI)이 개발한 516㎏ 위성으로, 우주 자기장·오로라 관측 등 과학 임무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임무를 위해 이 위성은 상시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태양동기궤도(SSO)에 진입해야 한다. 오로라 관측에 적절한 태양광 조건을 맞추려면, 위성이 적도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통과하는 때 해당 좌표 '승교점 지방시(LTAN)'가 낮 12시 40분이어야 한다.
이같은 특수 조건을 맞추는 발사 시각이 오전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인 것이다. 예기치 못한 기술적 이슈로 발사일이 연기되더라도 시간은 똑같아야 한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legomaster@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