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대 막바지 점검, 강풍에 일부 작업 지연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1월 25일, 오후 09:28

[이데일리 윤기백 기자] 누리호 4차 발사를 앞두고 진행되던 막바지 점검이 기상 악화로 일부 연기됐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4차 발사를 위한 기립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일대에 강풍주의보가 내려지면서 25일 예정됐던 작업 일부가 26일 오전으로 미뤄진 것이다. 다만 발사 시각은 변동 없이 27일 오전 0시 55분으로 유지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미 조립동에서 제2발사대로 이동해 기립까지 마쳤고 현재 발사대에 설치된 상태다. 전기·공조 엄빌리컬 연결과 발사체 신호 점검은 정상적으로 진행됐으며, 자세 제어계 점검도 이날 완료될 예정이다.

반면 강풍으로 인해 발사대와 연결되는 유공압 엄빌리컬 점검은 예정대로 수행되지 못했다. 항우연은 26일 오전 중 잔여 작업을 마쳐 발사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진행될 점검에는 발사체 전자장비·시스템(에비오닉스)의 전원 인가 및 점검, 추진제·헬륨 충전 준비 등이 포함된다.

모든 점검이 끝나면 우주항공청은 26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추진제 충전 개시 여부와 최종 발사 시각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4차 발사는 누리호 최초의 심야 발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주 탑재체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가 목표로 하는 태양동기궤도(SSO)에 진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위성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개발한 516㎏급 위성으로, 우주 자기장·오로라 관측 등 과학 임무를 수행한다.

위성의 임무 특성상 적도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통과할 때의 승교점 지방시(LTAN)가 낮 12시 40분이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발사 가능 시간대가 27일 오전 0시 54분~1시 14분이며, 발사일이 미뤄지더라도 발사 ‘시간대’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