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26일 '스마트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 성과 공유회를 공동 개최한다.
이날 오전 양 기관이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여는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 역량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 중인 기술 개발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제조 현장 확산을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와 중기부 관계자를 비롯해 산학연 전문가 등 약 200명이 참석한다.
양 기관은 2022년부터 해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현장 숙련노동자 감소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제조' 경쟁력 강화가 화두가 되고 있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여건상 자체적인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이 어려운 탓에 정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수 연구자를 대상으로 표창 시상이 이뤄진다. △품질 검사에 AI·디지털트윈을 적용해 정확도를 높이고, 실시간 분석을 가능하게 한 손지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제조융합연구실장 △폐수 처리 시설 및 제조 현장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김지영 온메이커스 상무가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을 받는다.
또한 △제품별 다양한 섬유 원단 결함을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한 조기창 디월드 대표이사 △생산 업무 효율적 분배·관리·조정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APS 서비스를 구축한 김병희 브이엠에스솔루션스 대표이사 등이 중기부 장관 표창을 수상한다.
권순재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은 "앞으로도 AI 대전환 시대에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중물이 될 수 있는 후속 R&D 및 비R&D 등 구체화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피지컬 AI가 제조현장의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핵심 해법으로서 과기정통부는 제조 현장의 암묵지 내재화를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과 함께,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현실 적용을 검증하는 월드 모델 기반 기술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Ktiger@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