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업계 "1000만 시장 됐지만 전파사용료·도매대가 악재"

IT/과학

뉴스1,

2025년 11월 26일, 오전 10:11

서울 시내에 위치한 알뜰폰 스퀘어 매장 모습. 2022.6.21/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알뜰폰(MVNO) 업계가 외형적인 시장 규모는 커졌지만, 전파사용료 부담과 도매대가 협상 문제로 악재가 겹치면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26일 올해 알뜰폰 사업 주요 상황을 두고 이같이 진단했다.

협회는 올해 6월 알뜰폰 가입자 수가 1000만 명을 넘겼으며, 연간 약 2조 2800억 원의 통신비 절감 효과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이동통신 3사 월평균 무선 가입자당 매출(ARPU)이 약 3만 5000원인 것과 비교해 알뜰폰은 약 1만 6000원에 그친다며 이 같은 셈법을 내놓았다.

아울러 금융 범죄 방지 및 콜센터 상담 품질을 높이는 데 투자를 확대를 늘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 투자 비용은 협회 회원사 18개사를 기준으로 2023년 382억 원, 2024년 425억 원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협회는 전파사용료 부담이 가중돼 알뜰폰 사업 적자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전파사용료는 중소기업에 올해 20% 부담을 시작으로, 2026년 50%, 2027년 100%로 부담율이 순차 확대될 예정이다.

이를 두고 협회는 지난해 알뜰폰 사업 1.5% 적자였지만, 전파사용료 100% 부담 시 연 3.9%로 적자가 확대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알뜰폰 사업자는 도매 제공 대가로 이동통신사에 지불한 전파사용료만큼 중복으로 부담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도매제공 대가 협상 문제도 지속되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알뜰폰 업체가 통신 3사 망을 빌리는 대가로 내는 돈인 '망 도매대가' 협상에 개입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과 직접 협상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지난 3월 말부터 사후 규제 방식으로 전환돼 알뜰폰 사업자들이 개별 협상을 벌이게 되면서 협상력이 떨어지는 알뜰폰 업체들이 이전만큼 요금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협회는 "도매대가 협상 방식이 사전 규제에서 사후 규제로 변경되면서 실질적인 대가 인하가 어렵다"며 "도매대가 인하가 없을 경우 알뜰폰 사업의 정상 운영이 어렵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통 3사가 자급제 중심의 저가 요금제를 잇달아 출시한 점도 알뜰폰 업계에는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협회는 "알뜰폰은 가입자 등 외형적인 성장을 계속하고 있으나 경영 환경은 악재에 악재가 겹친 상황"이라며 "알뜰폰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알뜰폰의 자체적인 노력에 더해 전파사용료, 도매대가 등에 있어 새로운 탈출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tiger@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