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누리호 4차발사 성공…韓 독자 우주수송 신뢰성 향상"

IT/과학

뉴스1,

2025년 11월 27일, 오전 03:08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4차 발사를 맞아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1기)를 비롯해 큐브위성 12기 등 총 13기의 위성을 실은 누리호는 오로라를 비롯한 우주환경 관측부터 항암제 연구 등 우주 바이오 실험까지 다양한 임무를 추진한다. © News1 안은나 기자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이 독자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4차 발사에 성공했다고 27일 발표했다.

누리호는 이날 오전 1시 13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으며, 18분간의 공식적인 비행을 마쳤다. 실패·지연 없이 발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항우연은 발사체 비행정보를 담고 있는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분석했다. 초기 분석 결과, 누리호는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위성을 목표 고도 600km 상의 임무 궤도에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다.

또 누리호는 발사 후 단 및 페어링 분리, 단별 엔진 연소 등 정해진 비행 시퀀스를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아울러 오전 1시 55분쯤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우주청·항우연은 태양전지판의 전개 등 위성 상태가 정상임을 확인했다.

부탑재위성 12기의 경우 위성별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상국과 교신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을 거쳐 우주청은 12기 위성 상태를 최종 확인·발표할 예정이다.

우주청은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누리호를 독자 개발했다. 2, 3차 발사 성공에 이어 오늘 4차 발사까지 연속으로 성공함으로써, 누리호의 신뢰성이 한층 향상됐다"며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해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췄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또 누리호 반복발사 사업의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누리호 4호기의 제작·조립을 총괄했다. 민간 기업이 누리호를 체계종합한 첫 사례다. 회사는 항우연이 주관한 발사 운용에도 참여를 확대하며, 노하우를 전수받고 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내년·내후년 예정된 누리호 5·6차 발사도 차질 없이 수행할 예정"이라며 "이후 누리호보다 성능이 향상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추진, 우리나라의 우주 개발 역량을 더욱 키워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따뜻한 격려와 성원을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과, 발사 성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한 항우연 및 산업체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legomaster@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