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성공적으로 발사된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지휘센터에서 관계자들이 기쁨을 나누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1기)를 비롯해 큐브위성 12기 등 총 13기의 위성을 실은 누리호는 오로라를 비롯한 우주환경 관측부터 항암제 연구 등 우주 바이오 실험까지 다양한 임무를 추진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1.27/뉴스1
누리호 4차 발사가 위성 분리까지 계획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7일 새벽 전라남도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 결과 브리핑을 개최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은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우주 수송능력을 갖췄음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전 1시 13분 지상을 떠난 누리호는 약 18분간 비행했다. 초기 분석 결과, 누리호는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위성을 목표 고도 600㎞ 상의 임무 궤도에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다.
다음은 우주항공청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관계자들과의 일문일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4차 발사를 맞아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1기)를 비롯해 큐브위성 12기 등 총 13기의 위성을 실은 누리호는 오로라를 비롯한 우주환경 관측부터 항암제 연구 등 우주 바이오 실험까지 다양한 임무를 추진한다. 2025.11.27/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총 비행시간을 914초로 보면 되는지, 계획은 1284초였는데 단축된 이유는?
▶(박종찬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장) 이번 누리호 4차 발사 최종 추적 종료 시점은 이륙 후 18분 25초다. 이 시간을 비행 종료 시각으로 보면 된다. 시간이 짧아진 이유는 1·2·3단 엔진의 연소 성능이 높게 나와, 각 분리 이벤트가 예정 시간보다 빨리 달성됐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3단 엔진도 짧은 연소로 목표 궤도에 도달하여 전체 미션 시간이 짧아졌다.
-한화가 총괄했는데, 향후 발사운영 이전은 어떻게 진행되는지가. 그리고 6차 발사까지는 탑재체 비용이 없다는데, 이후 비용 산정은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박종찬 단장) 현재는 항우연이 발사 운영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5·6차 발사에서는 한화의 참여 비중이 늘어나며, 기존 '보조·학습 역할'을 넘어서 주도적 운영 역할로 확대될 예정이다. 인원 확대뿐 아니라 실제 콘솔 운영 주체로 넘겨주는 방식으로 기술이전이 진행될 예정이다. 탑재체 비용은 6차까지는 공공 목적 기반 탑재로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다. 7차 이후 민간 중심 전환 시 비용체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향후 우주청과 협의해 산정 방식을 마련할 계획이다.
-2년 6개월 공백으로 중소·중견기업들이 불안해한다. 7차, 8차 발사 계획이 있는지?
▶(윤형빈 우주항공청장) 현재 고도화 사업은 6차 발사까지 계획. 7차 발사는 2028년 목표, 내년 예산 확보를 준비 중이다. 8차 이후에는 최소 연 1회 발사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추후 상세 발표 예정이다.
-발사 시각이 밀린 이유가 언빌리컬 회수 압력 센서 문제였는데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한다. 그리고 국제우주정거장과의 200km 근접 문제는 괜찮았나?
▶(우주청 )원래 계산된 시간은 0시 55분 예정. 그러나 0시 11분경 압력센서 출력이 비정상으로 확인됐다. 압력이 정상인지 확인해야 하므로 점검 시간이 필요했다. 국제우주정거장과의 근접 문제는 한 달 전 분석에서는 새벽 1시 13분쯤 200㎞ 이내 근접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국제우주정거장 임무에 따라 궤도 조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발사 1주 전, 하루 전, 8시간 전 재분석을 수행한다. 최신 분석에서 새벽 1시 14분까지 200㎞ 이내 근접이 없으므로 확인돼 문제가 없었다.
-한화가 전체 조립을 맡았는데, 가장 어려웠던 점은?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3차와 4차 사이 2년 6개월 공백이 있었고, 산업 생태계 유지는 매우 어려웠다. 특히 기술 인력 이탈 위험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 하지만 협력업체들과 함께 이를 극복한 사례라고 평가한다.
-전 세계 우주 시장이 2700조 원까지 성장 전망이 있다. 한화의 우주 시장 진출 의지는?
▶(손재일 대표) 우주는 첨단기술·안보·산업이 모두 결합하는 미래 전략 분야다. 항공·신소재·AI·통신 등 기술 융합이 중요한 영역이며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선 독자 발사체 확보가 절대적 조건이다. 차세대발사체 등 상업 시장 진출과 국가 독자 역량 강화를 함께 추진할 것이다.
-13기 위성의 교신·임무 내용은?
▶(우주항공청·항우연) 1차 신호 수신은 오늘·내일 중 확인 예정. 상세 기능 점검은 각 제작업체가 일정에 따라 수행 후 결과 공유할 계획이다. 임무는 지구 관측·우주 실험·바이오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보도자료와 각 스타트업·대학의 발표 등으로 세부 내용 공개할 예정이다.
kxmxs4104@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