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4차 발사를 맞아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1기)를 비롯해 큐브위성 12기 등 총 13기의 위성을 실은 누리호는 오로라를 비롯한 우주환경 관측부터 항암제 연구 등 우주 바이오 실험까지 다양한 임무를 추진한다. 2025.11.27/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27일 새벽 누리호 4차 발사에 성공했다. 우리 독자 우주수송 기술을 위해 개발된 누리호의 신뢰성이 한층 높아졌다.
현재 국가 연구개발(R&D) 계획상으론 누리호는 2027년까지의 6차 반복발사가 예정됐다. 우주청은 누리호의 잠재적 성능이 예상을 웃돈다고 보고 있다. 8번 이상은 발사해 성능개량을 검증하는 게 중요하다고 우주청은 보고 있다.
이날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 성공을 알리는 브리핑을 가졌다.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태양전지판을 전개했으며, 초기 교신에까지 성공한 상태다.
이날 오전 1시 13분 발사된 누리호는 이륙 2분쯤 고도 65.7km에서 1단을 분리하고 2단 점화에 성공했다. 이후 3분 50초쯤 고도 211.1km에서 탑재체 덮개(페어링)를 분리했으며, 4분 20초 고도 263km에서 2단 분리 및 3단 엔진 점화까지 완료했다.
이후 비행 12분 20초 만에 목표 고도 600km에 도달했다. 이후 차세대 중형위성 3호 및 12기의 부탑재 초소형(큐브)위성을 무사히 태양동기궤도(SSO)로 사출시켰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이같은 일련의 비행 시퀀스가 정상적으로 추진됐다고 강조했다. 이륙 직전 엄빌리컬(공급라인) 회수 압력 센서의 신호 이상으로 18분가량 발사가 지연되긴 했지만, 이후부터는 순조롭게 발사가 진행됐다.
항우연 등 연구진은 누리호 비행모델의 예상 데이터를 비교적 엄격하게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누리호의 실제 엔진 연소 성능은 예상 추정값을 상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우주청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등은 누리호 반복발사가 2027년 6차로 끝내선 안 된다고 보고 있다. 현재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R&D 계획에 따라 누리호는 6차 반복발사까지만 확정됐다.
올해 7월 누리호 기술이전을 받은 한화에어로는 누리호의 성능 개량을 통해 민간 주도의 우주수송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노하우를 쌓고자 이번 4차 발사부터 누리호의 제작을 총괄하기 시작했다. 페어링 확장, 경량화, 설계 최적화 등을 거치면 누리호도 충분히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고 회사는 보고 있다.
다만 현재 계획된 6차 발사만으로는 완전한 기술이전 및 발사체 고도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우주청을 중심으로 8번 이상의 발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누리호 6차 발사를 끝내고 2028년 7차 발사를 추진하는 것을 기관이 고민하고 있다"며 "아직 내년 사업비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존 누리호 고도화 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예산을 확보해 보겠다. 8차 발사 이후부터는 매년 누리호를 쏴야 한다"고 말했다.
legomaster@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