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네이버(035420)·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두나무의 네이버파이낸셜 자회사 편입을 통해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이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3사는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기업 융합 후 5년간 10조 원을 투자해 AI와 웹3 생태계를 육성한다.
3사는 27일 경기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사옥 1784에서 글로벌 진출 비전을 설명하는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전날에는 각각 이사회를 열고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네이버 계열로 편입하는 안을 의결했다.
공동 기자간담회에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3사 최고 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이 의장은 "네이버의 AI 역량은 웹3와 시너지를 발휘해야만 차세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이 글로벌 디지털 금융산업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빠른 의사결정 체계가 필요하고, 아직 글로벌 기업이 하지 않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해야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융합 배경을 설명했다.
송 회장은 "3사가 힘을 합쳐 AI와 블록체인이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과 나아가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고자 한다"며 포부를 밝혔다.
이번 딜이 성사되면 각 사는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글로벌 기회를 선점한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 검색·AI 기술기업이며 네이버파이낸셜은 3400만 명이 넘는 이용자와 연간 80조 원이 넘는 최대 결제 규모를 확보했다. 두나무는 국내와 글로벌에서 막대한 디지털 자산 거래량을 보유한 업비트 운영사이자 기와체인 등 국내 최고의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했다.
3사는 융합 후 AI와 웹3 등 시대적 화두가 되는 국내 기술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 생태계 조성에 5년간 10조 원을 투자할 계획도 공개했다.
최 대표는 "이번 딜이 완료되면 사용자-데이터-기술-서비스-자본력이란 풀 라인업을 구축하게 되는 만큼 글로벌 웹3 시장에 과감하게 뛰어들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오 대표는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우선적으로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한 계열사 편입과 기업융합을 통한 시너지 확대에 집중하고, 추가적인 지배구조 변경보다는 글로벌 시장 진출과 자본 시장 접근성 확대에 집중할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알렸다.
bean@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