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기 “KT 새 사장, 밀실·깜깜이 인사는 안 된다”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1월 27일, 오후 04:20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KT(030200) 차기 CEO 선임 절차를 둘러싼 불투명성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국회와 노동·시민사회가 “KT는 더 이상 밀실 인사를 반복해선 안 된다”며 강하게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KT새노조, 민생경제연구소, KT 정상화를 위한 공동행동, 서울의소리 등 시민사회 단체는 11월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기업 KT의 사장을 뽑는 과정은 투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훈기 의원(더불어민주당)
“KT 혁신·국민 통신비 절감할 능력자 필요… ‘누구의 사람’이어선 안 돼”

이훈기 의원은 “지금 KT에 필요한 새 사장은 정치적 줄대기가 아닌 혁신 능력을 갖춘 인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KT는 해킹, 소액결제 사고, MS 계약 의혹까지 겹치며 조직 신뢰가 크게 무너졌다”며 “이런 상황에서 또다시 ‘누구 사람’이라는 인사를 앉힌다면 국민기업 KT의 존재 이유가 사라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KT는 최근 3년 동안 구조조정과 작업환경 관련 이슈가 이어지는 과정에서 노동자 사망 사례가 발생했고, 네트워크 관리 과정에서도 보안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 경영 전반에 대한 책임과 대응 조치가 충분히 이뤄졌는지에 대해 외부에서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지배구조 취약해졌는데 또 밀실 인사?”… 시민사회 “KT 회복 못 하는 위기 올 것”

시민사회 단체는 KT의 과거 지배구조 혼란을 언급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용산 격노” 발언 후 사외이사들이 집단 사퇴하면서 초유의 경영 공백 사태가 벌어졌고, 이 여파로 KT 지배구조는 오히려 더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단체들은 “이사회가 아무런 성찰 없이 또다시 밀실 인사를 반복한다면 KT는 회복 불가능한 위기로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KT 대표 선임은 단순한 CEO 인사가 아니라 국민 통신비, AI 경쟁력, 데이터 주권과 직결되는 국가 전략 사안”이라며 국회와 함께 지속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33명 지원했지만 기준은 깜깜이”… 절차 공개 요구

KT 대표 지원자는 33명에 달하지만 후보 명단, 압축 기준, 추천 주체, 평가 방식 등 핵심 절차가 모두 비공개로 유지되고 있다.

이 의원은 “초등학교 운동회에도 기준이 있다”며 “국민기업 사장을 뽑는데 아무 기준도 공개하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임기 만료를 앞둔 사외이사들의 ‘연임 줄대기’ 의혹, MS 계약 책임 회피를 위한 특정 후보 선호 의혹 등을 언급하며 “이사회가 기준을 즉시 공개하지 않으면 오히려 모든 의혹을 키우는 꼴”이라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KT 대표 선임 과정 전체를 공개하고, 공정 경쟁·투명 절차를 지켜야 한다”며 이사회에 절차 개선을 촉구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