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자율주행 인프라 확장 정책과 기업들의 실증 프로젝트가 맞물리며 국내 미래 모빌리티 기술 상용화가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원격주행 시행 이미지
장혁 쏘카 전략유닛장(앞줄 왼쪽 첫번쨰) 등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쏘카
이날 제주 쏘카터미널에서 열린 시승식에는 국토부 관계자를 비롯해 주요 기업 실무진이 참석해 원격 제어 기반 주행 기술을 실제 공공도로 환경에서 점검했다.
원격주행은 차량 내 운전자 없이 외부 관제센터가 실시간 화면을 보며 조향·제어를 수행하는 기술로, 올해 4월 국토부 규제 샌드박스를 승인받은 뒤 이번 달부터 실도로 실증에 착수했다.
시승식에서는 제주공항에서 쏘카터미널까지 원격 제어 기반 주행 체험이 진행됐으며, 이후 관제 플랫폼에서 원격조작을 실시간 시연했다.
차량에는 원격주행용 카메라와 4G·5G 통신 모듈이 탑재됐다. 실증은 제주공항↔쏘카터미널, 제주공항↔용두암, 이호테우↔도두, 표선 해비치 등 4개 노선에서 이뤄지며 최고속도는 50km/h로 제한된다. 2026년에는 일반 고객 탑승 실증으로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실증의 핵심 거점인 ‘제주 쏘카터미널’은 관제 플랫폼과 정비·세차 시설을 갖춘 대형 오프라인 허브로, 쏘카는 이 공간을 기반으로 원격주행 데이터 축적과 카셰어링 연계 사업성 검증을 추진한다.
원격주행차량
정부는 또한 자율주행 AI 학습을 위해 개인 차량 영상데이터의 익명·가명 처리 후 활용을 허용하고, 자율주행 전용 GPU 확보, AI 학습센터 조성, 임시운행허가 확대 등 연구개발·상용화 기반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레벨3 규제는 대폭 완화하고, 레벨4는 선허용·후관리 체계를 도입할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자율주행 교통·운송 서비스 제도 정비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