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개 양자 클러스터 지정 추진···지자체 관심 쏠려

IT/과학

이데일리,

2025년 11월 27일, 오후 05:33

[이데일리 안유리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양자 클러스터 지정에 많은 지자체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7일 심주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이 27일 양자종합계획 및 양자 클러스터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안유리 기자)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이화여대 이삼봉홀에서 공청회를 열고 양자종합계획 및 양자클러스터 지정 계획의 초안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는 발디딜 틈 없이 붐빈 가운데, 경기도청·경북도청 등 많은 지자체 관계자가 참석해 클러스터 지정에 관심을 보였다.

정부는 양자클러스터를 5개로 지정해, 양자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역 내 기술 거점을 허브로 구성할 예정이다. 양자 전환 가능성이 높은 인접 분야, 지역특화 첨단산업 등이 위치한 수요 거점을 스포크로 구성한다.

김은주 NIA 지능 기술인프라본부장은 ”미국은 아마존이나 구글, 대학과 지역의 연구소와 지자체가 참여하면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고, 영국은 양자 통신이나 센서 컴퓨팅 전문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허브를 만들어나가고 있다“면서 ”양국의 사례와 장점을 분석해 잘 살리면 좋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현재 정부는 5개의 클러스터를 지정할 계획으로, 컴퓨터·통신·센서·소부장·알고리즘 정도로 계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는 5곳 클러스터 분류 기준이 지나치게 경직돼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에 위치한 기업의 양자 연구원은 “양자 기술은 본질적으로 융합적인데 특정 분야만 선택하도록 하면 지역의 기존 역량을 온전히 활용하기 어렵다”며 “두 개 이상의 분야를 묶어 제안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해달라”고 요구했다.

경기도청 관계자는 ”분야를 융합해 클러스터로 개념을 잡을 수 있는 건지, 단위를 어떻게 봐야하는 건지 어렵다“면서 ”지자체에서 산업과 연구기관의 현황을 먼저 분석해서 (분야에 대한) 수요를 받아야 하는데 지금은 바로 공모 절차가 진행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양자 클러스터 지정 방안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날 공청회에서는 클러스터 지정과 양자 생태계 구축이 속도감 있게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엄상윤 IDQ코리아 대표는 “일본에서 최근 3개 도시를 잇는 약 600km의 양자 암호 통신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 했다”면서 “일본이라고 하면 굉장히 좀 느긋하게 생각했는데, 최근에는 양자 컴퓨팅 기술이 생각보다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정부 투자가 마중물이 되어야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LG전자 김성혁 인공지능연구소 상무는 “대기업 입장에서도 제조·부품 등 기존 역량을 접목해 기여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며 “산업화 가능성을 체감하는 순간 대기업 참여는 훨씬 빨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 엔지니어 인력 부족은 선결 과제로 꼽혔다. 최만수 고려대학교 양자대학원 교수는 “현재 양자대학원 중심 인력 양성은 연구직 편중이 크다”며 “학부, 석사, 박사, 산업인력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공청회 의견을 바탕으로 연말 양자전략위원회에서 최종 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심주섭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은 “예산 매칭, 공모 일정 등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지자체 건의를 반영해 최종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