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은 28일 서울 중구 명동포스트타워에서 '2025 정보 무결성 강화를 위한 국제 콘퍼런스'를 열었다. (방미통위 제공)
인공지능(AI) 시대 허위 조작 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은 28일 서울 중구 명동포스트타워에서 '2025 정보 무결성 강화를 위한 국제 콘퍼런스'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허위 조작 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의 정보 무결성 강화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로, 방미통위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생중계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IFCN), 호주통신미디어청(ACMA) 등 국내외 연사와 미디어 정책 관계자 및 학계 전문가 등 1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정보 무결성'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이 이에 기반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환경의 결과물을 말한다. OECD는 허위 조작 정보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정보 무결성을 강조하며 세계 각국의 협력과 플랫폼 사업자를 비롯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짚은 바 있다.
이날 기조연설에 나선 샤를 보비옹 OECD 정보무결성 총괄은 '정보 무결성 강화: 과제와 기회'를 주제로 진화하는 정보 환경 속에서 사회적 회복력을 강화하고 정보 출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앤지 드롭닉 홀란 국제펙트체킹네트워크 국장은 허위 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전 사회적인 방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짚었다.
정은령 세명대학교 저널리즘대학원 교수(현 IFCN 이사)는 허위 정보 대응 핵심은 사실 확인(팩트체킹)이며, 이를 핵심 축으로 독립적 거버넌스 구축, 플랫폼 책임 강화 및 정보 무결성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캘리 머드포드 호주통신미디어청(ACMA) 허위정보·플랫폼 부서장은 호주의 '허위·잘못된 정보 근절 실천 강령' 개발 과정을 설명하며 허위 조작 정보로 인한 피해 안전장치 제공, 허위 조작 정보로 인한 수익 차단 등 실천 강령의 주요 내용을 소개했다.
방미통위 관계자는 "이번 발제 및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의 협력을 확대하고 정보 무결성 강화를 위한 정책 논의와 실천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Ktiger@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