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잉원 美서 "대만-미국 관계 긴밀"…中반발에 美 "관행" 일축(상보)

해외

뉴스1,

2023년 3월 31일, 오전 07:48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경유 형식'으로 방문한 미국 뉴욕에서 "대만과 미국의 관계가 어느 때보다 긴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날 대만 총통실은 차이 총통이 비공개 연설을 통해 "(대만은) 아시아 민주주의의 등대"라며 "특히 대만과 미국의 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긴밀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차이 총통은 이어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인 대만 TSMC가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공장을 설립하는 것을 언급하면서 양국의 경제·안보 협력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차이 총통은 "대만은 엄청난 도전에 직면했지만 고립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조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9개의 무기 판매 계약 등 대만과의 안보 협정을 이행한 미국에 감사를 표했다.

그는 뉴욕을 경유하는 동안 백악관 NSC 중국·대만 담당 선임국장인 로라 로젠버거 미 재대만협회(AIT) 회장과 만났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과거처럼 환대받은 것"이라고 했다.

차이 총통은 중미를 방문하는 길에 뉴욕을 경유했고, 내주 대만으로 귀국하는 길에 로스앤젤레스를 들러 케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을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中 강력 반발에 美 "오랜 관행"

한편 차이 총통의 '미국 방문'을 놓고 중국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는 이런 경유 형식 방미는 오랜 관행이었다고 반박했다.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이날 화상 브리핑에서 "(경유 형식 방미는) 오랜 관행이고, 미·대만의 비공식 관계에 부합하며, 미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과도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그의 경유는 사적이고 비공식적인 것으로 새로운 게 아니다"면서 "그의 안전과 편의, 명성을 고려해 이뤄지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도 전날 차이 총통의 이같은 방문은 흔한 일이라며 중국이 이를 빌미로 대만에 공격적인 행동을 해선 안 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중 관계에 "심각한 대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차이 총통이 미국에서 매카시 하원의장을 만나는 것은 과거와 유형이 다르다'는 지적에 "일상적인 경유 동안 대만 고위직이 미 의원들과의 만남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은 표준 관행에서 일반적인 것"이라며 "중국 등 누구도 이런 일상적이고 오랜 관행에 과잉 반응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은 대만관계법, 미중 3대 공동성명, 대만의 실질적 주권을 인정하는 6대 보장에 따른 '하나의 중국'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중국 정부 관계자들이 거친 반응을 내놓고 있지만 중국은 아직까진 별다른 군사적 도발을 보이진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차이 총통은 뉴욕을 경유하는 동안 지지자들에게 지금까지 중국에 의한 특이한 군사 행동이 촉발되진 않았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커비 조정관도 이날 브리핑에서 "차이 총통의 경유와 관련해 중국으로부터 가시적인 반응을 보지 못했다"며 "우리는 모두 그들(중국)이 수사적인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을 봤지만, 다른 유형의 반응이 있었다는 징후는 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jaeha67@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