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이 18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원 장관은 삼성물산, 현대건설, 현대로템, 한국수자원공사 등 18개 공기업·민간기업과 민관 재건협력단을 꾸려 지난 13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났다.
당시 젤렌스키 대통령은 직접 재건협력단을 만나 원전, 방산, 자원개발, 재건사업 등 4대 분야 협력 지원을 요청해 우리 정부와 기업이 약 120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제안한 리튬 광산 공동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사업성 검토 등이 필요하다.
원 장관은 “10월 초 우크라이나 국회의원들이 방한해 후속 논의를 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현지조사단을 파견, 진행해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네옴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몇몇 기업의 수주가 거의 성사된 것으로 안다”며 현재 순조롭게 진행 중임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네옴 프로젝트가 보기에 따라서는 과연 성사될 수 있을지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추진하는 국가의 정통성이 걸린 사업인 데다, 아랍에미리트(UAE)와의 지역 종주권 경쟁까지 걸린 사업”이라며 “석윳값이 고공행진 하고 있어 큰 틀에서 당분간 진행이 안 될 일은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사우디에서 받지 못한 미수금 문제를 작년과 올해 대통령 정상 외교를 통해 상당 부분 해소했지만, 아직도 남은 부분이 있다”며 “기업이 조금 더 좋은 조건에서 사업할 수 있도록 (정부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 달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10대 그룹 총수와 함께 사우디의 초대형 신도시 사업인 네옴시티 수주를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추진 중이다.